교수진
강현승 | Kang, Hyun-Seung
Professor
이력소개
의학과 신경외과학교실(뇌혈관질환) 및 대학원 중개의학전공
교수약력
.
연락처
/ hsk4428@snu.ac.kr
강혜련 | Hye-Ryun Kang
Professor
이력소개
의학과 내과학교실(알레르기내과) 및 대학원 중개의학전공
교수약력
1. 대식세포 조절을 통한 천식의 발생의 기전 연구 및 target molecule 선정 ...
연락처
/ helenmed@snu.ac.kr
강희경 | Hee Gyung Kang
Professor
이력소개
의학과 소아과학교실(소아신장) 및 대학원 중개의학전공
교수약력
2001 ~ 2005 서울대학교 대학원 의학 박사
연락처
/ kanghg@snu.ac.kr
권성근 | Kwon, Seong Keun
Professor
이력소개
의학과 이비인후과학교실(이비인후과학) 및 대학원 중개의학전공
교수약력
.
연락처
/ ent02@snu.ac.kr
전체 81건 중 1-10
강혜련
Hye-Ryun Kang
Professor
이력
의학과 내과학교실(알레르기내과) 및 대학원 중개의학전공
약력
1. 대식세포 조절을 통한 천식의 발생의 기전 연구 및 target molecule 선정 천식의 병인 기전은 과도한 Th2 반응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Th1, Th2, 및 Th17 세포의 불균형과 조절 T세포의 불완전한 억제기능 역시 천식 악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었으며, 다양한 천식과 관련된 연구들이 적응면역세포인 T세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선천성 림프구 세포와 더불어 선천면역세포들도 천식의 병인기전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밝혀지고 있습니다. 저희 연구소에서는 다양한 선전 면역 세포 중 대식세포와 천식의 상관관계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여러 천식모델에서 대식세포의 활성화 및 아형 변화 연구를 통해 천식의 병인 기전 이해 및 바이오마커 발굴과 치료법 개발을 위한 연구에 힘쓰고 있습니다. 2. 미생물을 통한 천식 예방법 및 치료제 개발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의 발전과 함께 천식의 병인기전으로 제기되어온 위생가설은 아직까지 천식 발생에 있어 연관성 분석에 그쳐 있습니다. 저희 연구소에서는 한 걸음 더 나아가 마이크로바이움의 변화와 천식의 인과관계를 밝히고자 여러 가지 공생균을 다양한 천식모델에 적용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천식 악화의 원인 중 하나의 미생물 감염은 박테리아 세포벽의 구성성분인 지질다당류의 노출을 동반합니다. 또한, 지질다당류는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endotoxin이기 때문에 지질다당류의 노출 용량과 시기 및 기간 등에 따라 달라지는 면역기전을 바탕으로 천식의 다양한 아형에 관련된 연구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