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과목안내
공통과목
| 구분 | 강좌명 | 학점 |
|---|---|---|
공동과정 (총 4 과목) | 중개의학분야에서 R&D 개발동향 | 3 |
| 중개의학개론 | 3 | |
| 중개의학방법론 | 3 | |
| 유전체의학개론 | 3 | |
임상약리학 (총 14 과목) | 임상시험세미나 1 | 3 |
| 임상시험세미나 2 | 3 | |
| 제약의학 | 3 | |
| 신약평가, 허가 및 관리제도 | 3 | |
| 임상약물유전학 | 3 | |
| 분자약물유전학 | 3 | |
| 임상약물상호작용 | 3 | |
| 약물이상반응과 과민반응 | 3 | |
| 약물역학연구방법론 | 3 | |
| 약물역학특론 및 시판후조사사례연구 | 3 | |
| 약물요법특론 | 3 | |
| 특수환자집단의 적정약물요법 | 3 | |
| 약동학/약력학모델링특론 | 3 | |
| 임상약력학 및 임상평가법 | 3 | |
중개의학 전공 (총 12 과목) | 비교면역학개론 | 3 |
| 수면장애개론 | 3 | |
| 중개연구를 위한 영장류학개론 | 3 | |
| 호흡기점막의 선천성 면역기전 | 3 | |
| 의과학에서의 sex, gender 연구 | 3 | |
| 신경과학에서의 임상연구방법론의 적용 1 | 3 | |
| 신경과학에서의 임상연구방법론의 적용 2 | 3 | |
| 뇌혈관질환의 이해 | 3 | |
| 종양면역학 | 3 | |
| 생체재료학개론 | 3 | |
| 원숭이를 이용한 비임상 신약개발과 안전성 평가 | 3 | |
| 중개의학 연구설계와 정량적분석방법 | 3 |
분야별 전공과정
| 구분 | 강좌명 | 학점 |
|---|---|---|
뇌신경과학 (총 15 과목) | 안구운동신경생리학 | 3 |
| 뇌기능매핑개관 | 3 | |
| 임상치매학 | 3 | |
| 뇌파학개론 | 3 | |
| 신경병리학개론 | 3 | |
| 신경계종양의 신경병리학 | 3 | |
| 이상운동질환의 이해 | 3 | |
| 뇌혈관질환병태생리개론 | 3 | |
| 신경계질환의 발병기전연구 | 3 | |
| 소아뇌신경과학 | 3 | |
| 뇌전증학의이해: 기초에서 임상까지 | 3 | |
| 노인신경학입문 | 3 | |
| 신경근육질환의 이해 | 3 | |
| 뇌연구의 역사 | 3 | |
분자유전체의학 (총 11 과목) | 분자세포의학총론 | 3 |
| 유전자 및 세포이식요법 | 3 | |
| 분자세포의학각론 | 3 | |
| 인체질환분자병인론 | 3 | |
| 소화기질환분자생물학특강 | 3 | |
| 분자내분비학총론 | 3 | |
| 분자내분비학특강 | 3 | |
| 내분비질환분자병인총론 | 3 | |
| 내분비질환분자병인특강 | 3 | |
| 분자 및 중개 소아신장학특론 | 3 | |
| 분자세포심장학 | 3 | |
신경외과학 (총 6 과목) | 뇌종양학특론 | 3 |
| 뇌손상학총론 | 3 | |
| 뇌혈관외과학 | 3 | |
| 척수외과학 | 3 | |
| 신경내분비학 | 3 | |
| 뇌종양과 4차 산업혁명 | 3 | |
분자종양학 (총 11 과목) | 임상종양학개론 | 3 |
| 종양분자진단학 | 3 | |
| 두경부종양외과학실습 | 3 | |
| 암의 생물학적 치료의 이해 | 3 | |
| 종양유전체학 | 3 | |
| 조혈모세포이식개론 | 3 | |
| 약물유전체학을 이용한 Personalized 항암치료 | 3 | |
| 임상시험과 이행성연구 | 3 | |
| 분자표적항암제의 기전과 임상적용 | 3 | |
| 노인종양학 | 3 | |
| 소아종양학 | 3 | |
면역학 (총 12 과목) | 기초면역학개론 | 3 |
| 임상면역학개론 | 3 | |
| 이식면역학개론 | 3 | |
| 자가면역질환론 | 3 | |
| T세포발달및기능특강 | 3 | |
| 알레르기학개론 | 3 | |
| 고급이식면역학 | 3 | |
| 면역학특강 | 3 | |
| 기도점막면역학 | 3 | |
| 조직공학과 재생의학원론 | 3 | |
| 조직공학과 재생의학 연구를 위한 질환모델동물학개론 | 3 | |
| 사구체신염면역학 | 3 |